[제주] 제주 형제섬 일출
지역별 출사포인트/제주 2020. 11. 6. 21:12 |▶ 주제 : 일출
- 형제섬 가운데 바위 옆 + 오메가 일출
- 형제섬 가운데 바위 위 + 일출
- 형제섬 일출 + 바닷가 돌 사이 물 반영
▶ 시기 (촬영 포인트에 따라 촬영 시기가 달라짐)
- [촬영포인트A] : 11.19 ~ 12.4, 1.9 ~ 1.23
. [촬영포인트A]의 약간 위쪽 해안가 : 12.4 ~ 1.15
- [촬영포인트B] : 10.27 ~ 11.5, 2.6 ~ 2.15
- [촬영포인트C] : 9.16 ~ 9.22, 3.21 ~ 3.27
▶ 위치
- [촬영포인트A] 서귀포시 대정읍 형제해안로 192 (발자국화석관리사무소) 앞 나무 펜스
- [촬영포인트B]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1-2 주차장 길 건너편 해안가
- [촬영포인트C]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128-6 주차장 밑 해안가
▶ 네비 검색 및 주차
- [촬영포인트A] 발자국화석관리사무소 옆 주차공간 ( 카카오맵 로드뷰 : http://kko.to/4IcnPlFYj )
- [촬영포인트B]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1-2 주차장 ( 카카오맵 로드뷰 : http://kko.to/W5ntg23D0 )
- [촬영포인트C]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128-6 주차장 ( 카카오맵 로드뷰 : http://kko.to/JjoPPl3D0 )
▶ 참고 사진 검색
- 구글 검색어 : 제주 형제섬 일출
https://www.google.com/search?q=%EC%A0%9C%EC%A3%BC+%ED%98%95%EC%A0%9C%EC%84%AC+%EC%9D%BC%EC%B6%9C&sxsrf=ALeKk01RA5OIrY1W1XsxDOCeng8F_1355g:1604660129374&source=lnms&tbm=isch&sa=X&ved=2ahUKEwjYiPzn4O3sAhXMad4KHSW0Dw4Q_AUoAXoECAcQAw&biw=1214&bih=1279
▶ 촬영포인트
- [촬영포인트A] 발자국화석관리사무소 앞 나무 펜스 인근
. 북쪽 방향으로 약 70여 m 정도에 위치한 소나무/해안가 돌 부근의 나무 펜스 부근까지 촬영 가능,
촬영포인트A 보다 촬영 시기를 조금 늦출 수 있음
. 남쪽 방향으로 약 100~150여 m 정도까지 촬영 가능,
촬영포인트A 보다 촬영 시기를 조금 앞당길 수 있음
. 나무 펜스로 인해 해안가 안쪽으로 들어갈 수 없음
. 형제섬 사이의 작은 섬이 양쪽 섬의 정 중앙에 위치함
- [촬영포인트B]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1-2 주차장 길 건너편 해안가
. 해안가로 내려가 해안가 바위돌을 근경으로 형제섬 일출 촬영 가능
. 형제섬 사이의 작은 섬이 양쪽 섬의 정 중앙에 위치함
- [촬영포인트C]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128-6 주차장 밑 해안가
. 나무 펜스가 있지만, 해안가 안쪽으로 내려갈 수 있는 것 같음
. 형제섬 일출 촬영이 가능하지만, 형제섬 사이의 작은 섬이 왼쪽섬쪽으로 치우치게 됨
- 기타
. 송악산 전망대 부근에서도 위 촬영포인트A,B,C와 다른 시기에 촬영이 가능하지만 형제섬 뒤에 대포포구/강정항 등이 자리잡게되어 오메가 일출은 어려움 (구글 검색 사진의 '송악산에서 촬영' 사진 참고)
▶ 해 위치
- 일출 일몰 지도 ( https://hinode.pics/lang/ko/maps/sun ) (지도를 보며 '제주 서귀포시 송악산과 사계항 중간 지점' 위치로 직접 이동 필요)
▶ 조석(물때)
- 간조시기에는 형제섬 사이 작은 바위 길이 조금 나타나며, 만조시기에는 형제섬 사이의 작은 바위길이 사라져 양쪽의 형제섬과 가운데 작은 바위 섬만 나타나게 됩니다.
- 조석예보표 (모슬포 기준) : http://khoa.go.kr/swtc/main.do
. 2020년 11월
. 2020년 12월
. 2021년 1월
▶ 촬영 Tip
- 형제섬의 세 섬(왼쪽/오른쪽/가운데 작은 바위섬) 모두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간조시기 보다는 간조를 벗어난 시기부터 만조까지의 시기가 더 좋습니다.
- 해안가의 돌과 돌들 사이에 고인 바닷물을 근경으로 촬영할 경우에는 간조시기부터 2~3일까지가 좋을 것 같습니다.
- 형제섬 양쪽의 가운데 작은 바위섬이 정 중앙에 위치를 하기 위해서는 촬영포인트A와 B 위치가 좋습니다. 촬영포인트C 위치는 가운데 작은 바위섬이 왼쪽 섬쪽으로 조금 치우치게 되며, 촬영포인트C 보다 조금더 내려갈 경우(송악산 부근)가운데 작은 바위섬이 왼쪽 섬쪽으로 바짝 붙게 됩니다.
- 촬영포인트A 위쪽의 사계해안체육공원 부근은 형제섬의 세 섬이 모두 형태를 나타내지만(가운데 작은 바위섬이 오른쪽 섬쪽으로 치우침) 아쉽게도 일출 해가 형제섬 위로 1년 내 위치하지 못합니다. 사계해안체육공원의 남쪽 부근(지도상 표시된 사계발자국화석발견지 부근)에서는 12.20 무렵부터 약 1주일 정도 형제섬 왼쪽 섬 부근에서 해가 떠오르므로 형제섬 가운데 위에 해를 위치시킬 경우에는 촬영이 어느정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촬영포인트A의 약간 위쪽에서도 촬영이 가능하므로 사계해안체육공원 부근에서 촬영할 이유는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촬영포인트A, B, C의 시기를 벗어난 나머지 시기 중 6월과 7월 무렵에는 송악산 전망대 부근에서 형제섬 일출을 촬영할 수 있지만, 형제섬 뒷편으로 대포포구와 강정항 등이 자리를 잡기 때문에 오메가 일출 등의 촬영은 어렵습니다. 그리고 형제섬 사이의 가운데 작은 바위섬이 왼쪽 섬쪽으로 거의 바짝 붙게 됩니다.
'지역별 출사포인트 > 제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구엄리 돌염전 일몰 (0) | 2020.11.21 |
---|---|
[제주] 제주 형제섬 일출 (0) | 2020.11.06 |
[제주] 광치기해변 일출 (0) | 2020.10.23 |
[제주] 중문 대포주상절리대 일몰 (0) | 2020.10.22 |
[제주] 말미오름 일출 (두산봉 전망대 일출) (0) | 2020.10.21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