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위의 사진과 같은 곳에서 촬영된 사진들이 사진 갤러리에 소개되는 경우가 있어 이곳은 어딜까 검색해보았습니다.
위 사진의 제목인 ‘석방렴’으로 검색을 해보니, 블로그, 백과사전, 위키,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사진, 촬영지 소개 등이 검색 되더군요. 검색 결과를 통해 ‘석방렴’은 돌담을 쌓아 만든 원시적인 어로 시설이며, 서해 쪽에서는 ‘독살’, ‘독장’, ‘쑤기담’으로, 제주 쪽에서는 ‘원담’, ‘원’, ‘개’로 불리고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위 사진은 ‘경남 고성군 하일면 동화리의 동화마을’에서 촬영된 것이고, 석방렴은 주로 경남 남해군에 대부분 위치함을 또한 알게 되었습니다. (위 사진은 경남 고성군에 있습니다)
위 사진이 위치한 경남 고성 동화마을 석방렴에 대해 분석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
고성군 동화마을 석방렴 낙조
▶ 주제 : 일몰 및 낙조 (석방렴 + 일몰 + 낙조)
▶ 시기 - 상시 - 석방렴의 입구 - 석방렴의 중간 - 일몰 해 일직선 : 3월 초순~중순, 9월 말~10월 초순
▶ 위치 - 경남 고성군 하일면 동화리 동화마을(동화어촌체험마을) - 경남 고성군 하일면 동화1길 203 (경남 고성군 하일면 동화리 88-2)
▶ 네비 검색 및 주차 - 경남 고성군 하일면 동화리 386 (석방렴 옆 정자 및 주차공간 주소) . 네이버 거리뷰 : http://naver.me/FzHH1ojV (정자 길 건너편 주차공간에 주차)
- 석방렴의 모습은 카카오맵 로드뷰나 네이버 거리뷰의 항공사진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다른 인공위성 지도에는 희미하게 나타나 있습니다.
▶ 촬영 Tip - 일몰 무렵 바닷물이 잔잔해지는 정조 시기(만조 시기)가 겹치면 잔잔한 수면에 비치는 낙조의 반영 촬영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만조 시기 중 가장 높은 수위 시기인 사리, 대조기에는 석방렴의 많은 부분이 물에 잠기게 될 것 같습니다. . 석방렴을 여러 회 촬영한 https://cheongyeo.tistory.com/317 블로그의 글에 의하면 “물때도 (음13일 5물) 그런대로 괜찮았고”라는 표현과 석방렴이 잠기지 않은 사진들로 보아, 물때는 4~5물 정도의 시기가 적당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4~5물 여부는 실제 확인이 필요합니다.) . 즉, 3월 초순~중순/9월 말~10월 초순 일몰 시간 + 4~5물의 만조 시간 => 정조 시기의 반영 촬영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 바닷물의 수면을 비단결처럼 잔잔하게 펼쳐 촬영할 수 있는 장노출 촬영은 일몰 시간 무렵에 오히려 물이 들어오거나 나가는 경우가 더 좋으므로 물 때 시간에 조금 자유로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몰 시간에 간조 시간이 겹칠 때만 피하면 될 것 같습니다.)
==========
다음은 남해군 지역에 분포한 석방렴 위치를 카카오맵과 네이버 지도를 이용하여 찾아 표시한 것입니다. 항공지도와 위성지도만을 이용하여 찾은 것이라 포함되지 않은 지역도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추후 새로 확인되는 곳이 있으면 글의 내용을 수정하여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A] 고성군 하일면 동화리 석방렴 - 경남 고성군 하일면 동화리 386 (석방렴 옆 정자 및 주차공간 주소) - 카카오맵 로드뷰 : http://kko.to/d0nXPyAYH - 위의 글 내용 참고
그런데, 2021년 2월 26일에 등록된 주희할배님의 사진은 도로 주변의 모습과 도로 이정표 등의 모습이 보다 잘 나왔기에 분석이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분석을 해보기 시작하였습니다.
촬영포인트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희할배님의 사진 일부를 캡쳐하여 사진에 특징점들을 표시하였습니다.
주희할배님의 사진을 클릭하여 크게 확대한 상태로 사진을 살펴보니, 몇가지 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 마이산의 모양이 숫마이봉/암마이봉으로 겹쳐 나타나는 위치는 대략 진안IC 방향쪽에서 바라볼 때의 모습입니다. - [도로 이정표 B]의 숫자에 도로 번호 20번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속도로 20번(새만금포항고속도로)입니다. - [도로 이정표 B]와 [도로 이정표 A]가 연달아 나타난 것으로 보아 [도로 이정표 A] 다음에 진안IC가 있는 것 같습니다.
지도(이번 글에서는 네이버 지도를 활용하였습니다.)를 열어서 진안IC 위치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지도를 확대하여 진안IC 나가기 전의 이정표 위치를 파악합니다. 진안IC로 부터 약 1km 정도 위치에 [도로 이정표 A]가 위치하고 있고, 다시 약 1km 정도 위치에 [도로 이정표 B]가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지도의 거리뷰 기능을 켠 후, [도로 이정표 A] 위치 부근을 확인하면, 주희할배님의 사진과는 화각이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 1km 이정표 : http://naver.me/xAtaAyqy )
다시, [도로 이정표 B] 위치 부근을 확인하면, 마이산의 모양이나 도로의 꺽임이 주희할배님의 사진과 화각이 비슷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정표의 모양과 도로 오른쪽의 모습이 비슷합니다. ( 2km 이정표 : http://naver.me/GVAbEcvI )
[도로 이정표 B] 위치 부근에서 뒤(진안IC 반대편, 이정표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쪽)로 움직이며 도로 주변을 살펴보면, 주희할배님 사진에 표시한 특징점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상행선/하행선 사이의 안전녹지대, 녹지대 안의 반사판, 반대편 도로에 위치한 태양 발광 LED, 도로 오른쪽의 가드레일 끝 등) (절개지 밑에서 마이산쪽 바라보기 : http://naver.me/F36IYnqV )
이제 마이산 암마이봉과 [도로 이정표 B]를 연결하여 일차로 추정한 곳이 맞는지 검증해 봅니다. 네이버 지도의 거리 기능을 이용하여 마이산의 암마이봉과 [도로 이정표 B]의 아래쪽(사진상의 왼쪽) 지점을 지나서 선을 계속 이어가면 절개지 부근에 도달합니다. 일차로 추정한 절개지 부근이 촬영포인트가 맞는 것 같습니다.
주희할배님의 사진 오른쪽 하단에 표시된 시멘트 포장(?) 부분은 배수로 부근을 포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촬영포인트로 추정되는 절개지 위까지는 배수로가 만들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로에서 절개지 방향 바라보기 : http://naver.me/FMAx9tKr )
절개지 위의 촬영포인트 추정 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주변 지역을 살펴보니, 직접 이동할 수 있는 도로는 만들어져 있지 않고, [주차] 표시된 부분에 차를 주차한 후 약 550여m 정도 이동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절개지 밑 주택 부근까지 도로가 있지만, 도로가 좁고 주차할 곳이 없어서 주택에 거주하시는 분께 피해를 끼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시설하우스(?) 반대편 도로 가장자리에 차를 주차한 후 도보로 이동하시길 권해드립니다.) - 주차 (시설하우스 반대편 논의 주소) : 전북 진안군 진안읍 구룡리 1015-1 - 주차후 시설하우스 사이 바라보기 : http://naver.me/G2UhYN9s
촬영포인트 추정 위치에서 마이산 방향은 서쪽 방향이므로 일몰과 관련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일몰 시기를 파악해 보니, 마이산 위에 해가 위치하는 시기는 대략 2월 10일 무렵과 11월 1일 무렵이며, 이 시기 무렵에 마이산 위쪽, 특히 암마이봉과 숫마이봉 사이에 해가 위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마이산의 높이가 있으므로 일몰 해가 마이산 위에 위치하려면 2월 10일 보다는 2월 11일이나 12일, 11월 1일 보다는 10월 30일이나 31일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촬영포인트 추정 위치에서 바라보는 도로의 모습과 궤적이 마이산 암마이봉 오른쪽으로 향하므로, 일몰 해가 암마이봉 오른쪽에 위치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 경우 2월 13일~21일, 10월 20일~29일이 좋을 것 같습니다.
PDF 파일이나 AI 파일의 저작권과 관련하여, 출처 표시와 함께 상업적 이용이 가능하고, 변형 등 2차 저작물 작성이 가능하므로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 작업이 가능한 경우 AI 파일(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 파일)에 출사정보 등을 작성한 자신만의 천문 촬영 달력이나 사진 출사 달력 제작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 2021년 2월 . 만조와 일몰 시간이 겹치는 시기 : 2.12~2.14, (2.15~2.16 가능), 2.27~2.28 . 간조와 일몰 시간이 겹치는 시기 : 2.21~2.22
▶ 촬영 Tip - 용유도 오메가 일몰은 선녀바위해변 쪽 돌출된 바위해변과 갯바위 사이에 오메가 일몰 해를 위치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촬영은 용유도 해변쪽 해안가에서 촬영을 하며, 시기별로 해 위치에 맞춰 촬영 위치를 이동하기 바랍니다. (위의 촬영포인트와 해 위치 항목 참고) . 11.13~1.27 무렵에도 오메가 일몰 촬영이 가능하지만, 시기에 따라 해안 돌출 부분이 화각을 침범할 수 있습니다.
- 용유도 오메가 일몰은 촬영 위치와 선녀바위해변 쪽과의 거리로 인하여 환산화각 400mm 급 정도의 렌즈가 활용됩니다. 200mm 급 정도의 렌즈일 경우 촬영후 크롭이 필요합니다.
- 조석(물때)는, 잔잔한 해수면이 요구될 경우에는 만조와 일몰 시간이 겹치는 시기가 유리합니다.(조석/물때 표 정보를 활용하여 만조와 일몰 시간이 겹치는 시기를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 간조와 일몰 시간이 겹치는 시기에는 갯바위와 선녀바위해변 쪽이 연결된 바위 수면으로 해가 위치하게 되고, 만조와 일몰 시간이 겹치는 시기에는 갯바위와 선녀바위해변 쪽이 연결된 바위가 수면 아래로 내려가 오메가 일몰을 조금더 명확히 나타낼 수 있습니다.(위의 구글 검색어 참고 사진에 표시한 '만조 시기' 사진들과 '간조 시기' 사진들 참고)
댓글을 달아 주세요